• 프로필사진
    BE_규원
  • 방명록
  • 공지사항
  • 태그
  • 블로그 관리
  • 글 작성
BE_규원
  • 프로필사진
    BE_규원
    • 분류 전체보기 (17)
      • front-end (1)
      • back-end (8)
      • infra (6)
      • woowa-course-7 (0)
      • record (1)
  • 방문자 수
    • 전체:
    • 오늘:
    • 어제:
  • 최근 댓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최근 공지
      • Tistory Skin
      등록된 공지가 없습니다.
    # Home
    # 공지사항
    #
    # 태그
    # 검색결과
    # 방명록
    • k8s-5-쿠버네티스-트러블-슈팅의-기본-프로세스
      2025년 01월 26일
      • BE_규원
      • 작성자
      • 2025.01.26.:04

      쿠버네티스 트러블 슈팅의 기본 프로세스

      일반적인 쿠버네티스 작업 순서

      1. apply
      2. get
      3. describe
      4. logs
      5. get event

      대부분의 쿠버네티스 환경의 문제는 위와 같은 순서의 디버깅 프로세스로 해결 가능

      쿠버네티스는 에러 메시지가 직관적이라 이해하기 쉬움

      VM 이 아닌, 컨테이너 기반이기 때문에 이식성이 높음
      자동 복구와 같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기능이 뛰어남

      기본 에러 조치 프로세스의 이해

      kubectl logs -f ${resource} 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실시간 로그 조회 가능

      특정 자원이 아닌 클러스터 레벨의 에러는 kubectl get events 명령어를 통해 확인 가능

      장애 처리 사례: 호스트 노드의 파일 시스템 용량 초과

      호스트 노드의 자원 부족은 흔히 발생하는 문제

      자원이 부족한 노드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해당 노드의 파드를 종료시키고, 자원의 여유가 있는 다른 노드에 새로 생성함

      이런 경우, 애플리케이션 문제가 아니라 노드의 문제이므로 클러스터 이벤트로 확인할 수 있음

      이처럼 VM 환경에서는 문제가 발생하면 문제를 해결하려 했지만, 쿠버네티스 환경에서는 애플리케이션에 문제가 발생하면 파드를 종료하고 새로운 파드를 생성함

      이는 애플리케이션 장애 시간을 줄이는 주요 전략이며, Pets vs Cattle 개념으로 이야기 함
      컨테이너 환경이기에 가능한 일

      kubectl describe ${node\_name} 으로도 확인 가능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k8s-6-헬름-기반으로-애플리케이션-설치하기  (0) 2025.01.26
      k8s-4-yaml-파일을-이용한-쿠버네티스-오브젝트-관리  (0) 2025.01.05
      k8s-3-kubectl-명령어로-익히는-쿠버네티스-주요-오브젝트  (5) 2025.01.01
      k8s-2-효율적인-쿠버네티스-클러스터-관리를-위한-kubectl-CLI-환경-최적화  (1) 2025.01.01
      k8s-1-쿠버네티스-개요와-클러스터-설치  (1) 2025.01.01
      다음글
      다음 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댓글
    조회된 결과가 없습니다.
    스킨 업데이트 안내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아니오"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목차
    표시할 목차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 감사해요
      • 잘있어요

      티스토리툴바